NL 마지막 날에 다른 학교 교수님이 우리과 NL선생님들과 함께 

신경 근골격계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신체검사를 주제로 강의를 하셨다.

대학병원 교수님이 해주시는 강의니깐

최첨단의 세부적 지식 한 가닥을 발전시키기 위해 쌓는 벽돌 하나 같은 내용의 강의를 해주시나 생각하며

열심히 듣는척할 준비ㅋㅋ를 하고  있었는데

의외로 척추사지진찰을 위한 간단한 수기검사와 같은..

신경과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침범되는 부위와 비슷한 부위를 침범하는 다른 과 질환을 확인하는

고전적인 신체검사를 essential 한 것만 추리신 다소 평이한 강의였다.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선생님들에게는 이런 타과의 신체검사가 필요없을지도 모른다.

강의를 들은 우리학교병원 선생님 중 한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신경과 질환이 아닌 신체문제에 대해서는 관련과에 협진요청해서 해결하면 되는 게 병원의 치료시스템이니깐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의사가 이런 타과의 진찰에 대해 얼마만큼의 범위까지 알아야 하느냐는 질문에

강의하신 타대학 교수님께서도 '결국 취향의 문제'라고 대답하신 걸거다.

신체검사로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줄 아는 의사가 되고 싶은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문제

 

 

취향의 문제라.. 

 

실습때문에 학교와 관련된 의료기관의 진료(3차, 2차 병원)만 보다보니

의사의 진찰이란 건

병력 확인하고 증상에 따른 알고리즘에 맞춰 감별진단을 위해 각종 검사와 영상을 확인하고

굳이 의사라는 '사람이 없어도 되'는 그런 과정처럼 느껴질때가 많다.

요즘의 의료란, 근거중심이라는 말 아래 가이드라인에 따른 최선의 정해진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고  

그런 관점에선 이런 간소한 진찰과정이 그다지 문제될 건 없다.

하지만 이 과정에도 때로 뭔가 빈틈이 생긴다면 그건

환자 개개인을 진료하는데 있어 신체접촉이라는 질적인 감각이 빠져서가 아닐까 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심장초음파나 경식도 초음파 같은 걸로 병변을 확인해내는 의사도 괜찮지만

청진과 같은 오래된 수단으로 심장의 문제를 확인해내는 의사는 정말 근사하다고 생각한다

 

한 의사 내면에서 쌓여가는 신체진찰의 경험들은

환자를 보면서 '이 사람, 뭔가 조짐이 나쁘다'같은

문자그대로의 impression조차도 훨씬 설득력있는 직감으로 단련될 것이다.

 

그래서 이런 개인적인 진찰감각의 단련이 뭘 낳을까

어차피 환자 보고 약주고 치료하는 건 거기서 거기일 텐데

전혀 첨단의 지식도 아니고 구식으로 환자를 보는 이런 과정 따위 내것으로 만들지 않아도 상관없을까?

 

 

아티스트라든가 워호스에 대한 영화평 중에

영화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에 충실한다는 것..에 대한 말을 봤다.

기술적인 어떤 것들이 가장 중요한 듯 여겨지는 변화의 시기는 항상 있겠지만

그래도 언제나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영화의 중요한 어떤 건 변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신경과 마지막 강의를 들으면서 신체검사의 의미에 대해 했던 생각도

저 영화들 영화평에서 나왔던 얘기들과 비슷한 느낌이다.

 

첨단의 멋진 것들을 기피하고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편리하고 유용하고 또 새로운 어떤 것이 만들어지는 데는,,

(단순히 '만들어진다'가 아니라 창발되는 거라고 하자.)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걸 무수히 반복하는 어떤 누적이 필요한 거 같다는 얘기를 하고 싶은 거다.

특히나 학생입장에서라면 더더욱 그런 과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거 같다.

내 생각에.

'yS 2010▷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이 지나가네  (0) 2012.08.01
외부병원 파견실습의 좋은 점은...  (0) 2012.04.18
산책로  (0) 2012.04.18
오늘 첫 영성체  (0) 2012.04.08
헬기이송환자  (0) 2012.03.27
Posted by Navi. :